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부 가려움증 증상과 관리 방법

by 울산맛사랑 2023. 11. 22.

 찬바람이 부는 건조한 겨울철입니다. 과도한 실내 난방으로 인한 건조한 실내 환경, 온수매트 및 전기요, 잘못된 샤워 습관 등 때문에 피부 가려움증으로 하소연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피부 가려움증 증상과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피부 가려움증

 

 
 

목차

1. 피부 가려움증 증상은?
2. 피부 가려움증 관리 방법
 2.1 잦은 샤워 및 목욕, 각질 제거 피하기
 2.2 적정 실내 습도 유지 하기
 2.3 피부 보습제 꼼꼼히 바르기
 2.4 충분한 수분 섭취하기
 2.5 자외선 차단제와 옷으로 피부 보호하기
3. 마무리

 

1. 피부 가려움증 증상은?

 

 복부나 허벅지, 팔, 다리 등 평소 피지 분비가 적은 곳에 주로 피부가 건조하여 가려움증이 나타나며 가려움, 긁어서 생긴 딱지, 각질, 홍반 등 피부 발진이 나타납니다.

 

피부 가려움증
피부 가려움증 증상

 

 보통 가려움증이 생길 경우 무의식적으로 손으로 긁게 되는데 되도록이면 긁지 않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먹는 약으로 당장에 가려움증은 사라집니다. 하지만 가려움증의 원인은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다시 가려움증이 재발할 수 있어 건조한 피부를 개선하는 생활습관을 고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2. 피부 가려움증 관리 방법

 

 특히 환절기에는 아토피나 건선 그리고 만성태선과 같은 염증성피부질환이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부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피부 가려움증을 예방하는 관리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1 잦은 샤워 및 목욕, 각질 제거 피하기

 

피부 가려움증
잦은 목욕

 

 뜨거운 물로 자주 샤워나 목욕을 하면 피부에 있는 수분을 뺏어갈 수 있습니다. 또한, 목욕을 하면서 때를 미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피부 장벽을 무너뜨려 피부의 면역, 보습, 보호 기능 등 피부의 균형을 떨어뜨려 각종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피부 가려움증
잦은 샤워

 

2.2 적정 실내 습도 유지 하기

 

피부 가려움증
가습기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는 약간 서늘한 정도인 20~24℃, 적정 실내 습도는 45~55%로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가습기 또는 젖은 수건이나 빨래로 적정 실내 습도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피부 가려움증
젖은 빨래로 습도 조절

 

2.3 피부 보습제 꼼꼼히 바르기

 

피부 가려움증
피부 보습제

 

 피부 보습제를 미리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건조하고 가려운 피부에 보습제를 발라주면 진정 효과는 물론, 피부 온도를 떨어뜨려 가려움증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피부 가려움증
피부 보습제 바르기

 

2.4 충분한 수분 섭취하기

 

피부 가려움증
충분한 수분 섭취하기

 

 우리 몸 체내에 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루 1.5L 이상의 수분을 먹는 게 좋습니다. 또한, 몸을 건조하게 만드는 과도한 음주나 커피 섭취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피부 가려움증피부 가려움증
음주 및 커피는 피하는게 좋다

 

2.5 자외선 차단제와 옷으로 피부 보호하기

 

피부 가려움증
자외선 차단제

 

 외출 시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바르고 옷으로 피부를 보호해 피부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피부 가려움증
자외선 차단제 바르기

 

 옷 같은 경우, 너무 꽉 끼거나 조이는 옷은 피하고, 피부를 자극하는 모직물이나 털옷 대신 면 소재의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 가려움증
면 소재의 옷

 

3. 마무리

 

피부 가려움증
피부과 진료 및 치료

 

 얼굴과 몸에 가려움증이 생겼을 경우에는 가급적이면 긁지 말고 물수건이나 진정제 등을 통한 진정 요법을 써야 합니다.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진정시켜 염증을 가라앉혀 주는 방법이기 때문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울러 가려움증이 너무 심한 상태에서 염증까지 생겼을 경우에는 가까운 피부과를 찾아서 그에 맞는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보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